본문 바로가기
정보제공

레오 14세 프로필 나이(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

by 어색한 2025. 5. 9.
반응형


제267대 교황 레오 14세의 여정과 첫 미국인 교황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오14세


2025년 5월 8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의 ‘강복의 발코니’에서 새로운 교황이 군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기대 속에서 선출된 제267대 교황은 레오 14세(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 69세)입니다. 이번 선출은 여러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미국 출신 인물이 교황직에 오르는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기에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레오 14세




조용하지만 단단한 인물, 레오 14세


교황 레오 14세는 미국 시카고 태생으로, 오랜 시간 페루에서 사목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무려 20년 가까이 현지에서 선교와 봉사에 헌신한 그는, 페루 시민권까지 취득하며 지역사회에 깊숙이 뿌리내린 삶을 살아왔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과 유사한 사목 노선과 인류애적 접근으로 ‘제2의 프란치스코 교황’이라는 평가를 받는 인물입니다.

그는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위한 활동에 깊은 애정을 보여왔습니다. 내성적이고 조심스러운 성격의 그는, 과도한 언행보다 실천적 삶의 자세로 리더십을 보여주는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과 영성, 그리고 페루에서의 선교


레오 14세는 미국 빌라노바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고, 시카고가톨릭신학대에서 신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후 로마 교황청 산하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대학교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으로도 탄탄한 기반을 쌓았습니다.

그는 1982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85년 페루에 파견되어 아우구스티노 선교단 소속으로 선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후에는 아우구스티노 신학교를 이끌며 차세대 성직자 양성에도 힘을 쏟았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그를 페루 북서부 치클라요 교구의 사도 행정관으로 임명했고, 2015년 주교로 승격시켰습니다. 이는 그의 사목 역량과 리더십이 고 교황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레오14세




‘어린 왕자가 아닌 주교’, 평등과 헌신의 철학


레오 14세는 사목 활동 중 여러 차례 인상적인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특히 “주교는 자신의 왕국에 앉아있는 어린 왕자가 되어선 안 됩니다”라는 발언은 그의 겸손한 철학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는 빈민과 이주민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보여왔고, 이를 실천으로 옮긴 사례도 많습니다. 과거 두 차례에 걸쳐 성직자 성범죄 사건 처리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지만, 모두 정당하게 처리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그는 최근까지 교황청 내에서 새 주교 임명 업무를 총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습니다. 이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를 차세대 핵심 인물로 보고 있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합니다.



첫 인사: “우리는 함께 걸어갈 수 있습니다”


교황으로서 첫 공개 발언에서 레오 14세는 이탈리아어로 “여러분 모두에게 평화가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라고 인사했습니다. 이어, 오랜 시간 몸담았던 페루를 떠올리며 스페인어로 동일한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모두 함께 걸어갈 수 있습니다”라는 말로 공동체 정신과 포용의 뜻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대화의 다리’를 놓자고 제안하며 갈등보다는 대화를 통한 평화를 추구하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출신임을 밝히며, 그 정체성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는 무엇보다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라는 말로 다시 한 번 교황직 수행의 철학을 밝혔습니다.

바티칸




바티칸 내부의 평가와 외신 반응


미국 CNN은 교황 선출과 관련해 흥미로운 분석을 내놨습니다. 과거에는 미국의 정치적 영향력을 우려해 미국 출신 인사의 교황 선출을 꺼리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레오 14세는 페루에서의 경험을 통해 이런 우려를 불식시켰다고 평가했습니다.

CNN은 그에 대해 “서구 출신이지만 전 세계 교회와 신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인물”, “권위주의적이지 않으면서도 일의 완수 능력이 뛰어난 리더”라고 소개했습니다. 실제로 그는 교황청 내에서 합리적인 중재자이자 실무형 지도자로서 인정받아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환영 메시지


미국 역사상 최초의 교황 탄생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개인 SNS를 통해 크게 환영했습니다. 그는 “얼마나 벅찬 감격이며, 미국에 얼마나 큰 영광인가”라고 말하며, “교황 레오 14세를 직접 만나게 될 날을 고대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뜻깊은 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맺음말


교황 레오 14세의 등장은 단순한 지도자 교체 이상의 상징성을 지닙니다. 국경을 초월한 봉사와 신앙, 헌신의 여정이 그의 삶을 관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톨릭 교회는 새 시대의 포용과 개혁을 기대하게 됩니다. 앞으로 그가 보여줄 리더십이 전 세계 교회와 인류 공동체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