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기후동행카드 신분당선 경기도는? 일단 김포시 군포시먼저

by 어색한 2024. 2. 6.

월 6만원 대로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에 인천시와 경기 김포시에 이어 군포시가 새로 참여해 경기남부권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합니다. 군포시 참여로 곧바로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이 추가되진 않지만, 서울과 군포를 잇는 지하철 1·7호선 구간에 기후동행카드 적용이 추진될 전망입니다. 또 서울시가 다음주에 추가 참여 지자체를 공개할 예정인 가운데, 서울과 군포 사이에 있는 과천·안양 등의 기후동행카드 참여가 점쳐지고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란?

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카드가격: 62,000원(따릉이 제외), 65,000원(따릉이 포함)

기후동행카드 사용 범위


① 서울지역 내 지하철
②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③ 따릉이
지하철 세부노선
(1호선) 온수/금천구청~도봉산
(3호선) 지축~오금
(5호선) 방화~강일/마천
(7호선) 온수~장암
(9호선) 전구간
(신림선) 전구간
(경의중앙선) 수색~양원/서울역
(수인분당선) 청량리~복정
(2호선) 전구간
(4호선) 남태령~당고개
(6호선) 전구간
(8호선) 전구간
(우이신설선) 전구간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경춘선) 청량리~신내

 

서울 시내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경기·인천 등 다른 수도권 지자체들과의 엇박자 행정 문제로 이용자들이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지난달 27일부터 선보인 월 6만원대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 ‘기후동행카드’는 31일까지 누적 28만8000장이 판매됐습니다. 하루 이용자는 지난달 31일 기준 17만5000명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경기도나 인천 등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이 불가능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현재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을 제외하면 경기도 김포·군포시, 인천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서울시민 절반 이상이 타지역으로 출·퇴근 또는 통학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용 범위가 제한적인 셈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에서 인천이나 경기도로 통근·통학하는 인구(12세 이상)는 약 537만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시행을 발표했을 때부터 예상됐던 부분이긴합니다. 지난해 9월11일 서울시는 “2024년 1월27일부터 6월 말까지 기후동행카드를 시범 운영하고, 7월부터 정식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서울시 발표 직후 경기도가 즉각 반발했습니다.

당시 경기도는 보도자료를 내고 “하나의 생활권을 가진 수도권의 교통 문제는 특정 지자체만의 일방적인 발표가 아니라 3개 지자체 간 공동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난제”라면서 유감의 뜻을 보였습니다. 이후 경기도는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The(더) 경기패스’ 사업을 도입한다고 발표하며 또 다른 길을 선언했습니다.

인천시 관계자도 “향후 기후동행카드 사용 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은 3개 지자체가 연구를 통해 도출해야 하는 상황”라며 “재정 문제, 환승 손실 등 당장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 갑자기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다른 지자체들과의 협의를 통해 해결책을 찾겠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시 교통정책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 발표하기 전에 경기도, 인천, 코레일, 공항철도, 수도권 교통운영기관 등을 만나서 회의를 진행했다”면서 “시범 운영 기간에도 서울과 인천, 경기도의 교통 연구원들이 공동으로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각 지자체가 엇박자를 내는 사이 불편함과 혼란은 시민에게 전가됐습니다. 사용지역이 제한적인 지하철은 물론 버스 또한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로 국한돼 경기·인천 광역버스와 심야버스에서 사용이 불가능해서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한 신분당선에서도 혼선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하루 7만여명이 이용하는 신분당선 강남역 역무실에는 기후동행카드가 처음 시행된 주말부터 역무실에 찾아와 문의하는 승객이 급격히 많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개 지자체의 빠른 협의를 통해 불편이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구입하기

반응형